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이야기

PER, PBR 쉽게 이해하기 (2025년 주식 초보자 가이드)

by 요셉님 2025. 4. 29.

주식을 처음 접하면 PER, PBR 같은 단어를 자주 보게 됩니다. "이게 도대체 뭘 의미하는 걸까?" 이번 글에서는 주식 투자의 가장 기본적인 지표인 PERPBR을 쉽고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1. PER이란?

PER (Price Earnings Ratio)는 ‘주가수익비율’입니다. 쉽게 말하면, 현재 주가가 연간 순이익의 몇 배 수준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 공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시

  • 삼성전자 주가: 70,000원
  • EPS(주당순이익): 7,000원
  • 👉 PER = 70,000 ÷ 7,000 = 10배

2. PER을 해석하는 방법

  • PER이 낮다: 이익 대비 주가가 싸다 → 저평가 가능성
  • PER이 높다: 이익 대비 주가가 비싸다 → 고평가 가능성

3. PBR이란?

PBR (Price Book-value Ratio)는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회사의 순자산(자본) 대비 현재 주가가 얼마인지를 나타냅니다.

PBR 공식

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예시

  • 주가: 70,000원
  • BPS(주당순자산): 35,000원
  • 👉 PBR = 70,000 ÷ 35,000 = 2배

4. PBR 해석 방법

  • PBR 1 이하: 기업 청산 가치보다 싸게 거래 중 → 저평가 가능성
  • PBR 1 이상: 기업 성장성 반영 → 정상 범위

5. PER과 PBR의 관계

PER은 ‘수익성’을, PBR은 ‘자산가치’를 본다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둘을 함께 고려해야 기업의 종합적인 가치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6. PER, PBR 주의사항

  • 업종별 평균 비교 필요 (IT, 금융, 제조 등 업종별 특성 존재)
  • 미래 이익 추정치(FORWARD PER)와 과거 이익(PER) 구분

마무리

PER, PBR은 주식의 가치를 판단하는 데 기본이 되는 지표입니다. 하지만 숫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업종 특성과 미래 성장성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초보자가 많이 관심 갖는 배당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