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PBR은 주가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지표지만, 그 기반이 되는 수치가 바로 EPS (주당순이익)과 BPS (주당순자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PS와 BPS의 정확한 의미와 투자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1. EPS란? (Earnings Per Share)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 공식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수
예시
- 순이익: 1,000억 원
- 발행 주식 수: 1억 주
- 👉 EPS = 1,000억 ÷ 1억 = 1,000원
2. EPS가 중요한 이유
- PER 계산의 기반 지표
- 기업 수익성 평가의 핵심 지표
- EPS가 상승한다 = 기업 이익 증가 → 주가 상승 가능성 ↑
3. BPS란? (Book-value Per Share)
BPS는 기업의 순자산(자산-부채)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BPS 공식
BPS = (총자산 - 총부채) ÷ 발행주식수
예시
- 총자산: 5조 원
- 총부채: 2조 원
- 발행주식수: 1억 주
- 👉 BPS = (5조 - 2조) ÷ 1억 = 30,000원
4. BPS의 활용
- PBR 계산의 기반
- 청산 가치 판단 가능
- BPS 대비 주가가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
5. EPS & BPS 함께 보는 법
- EPS 상승 + BPS 증가 → 실적과 자산 모두 증가 → 이상적 성장 기업
- EPS 상승 + BPS 감소 → 레버리지 사용 가능성 ↑
- EPS 감소 + BPS 증가 → 일회성 손실이거나 수익성 악화
마무리
EPS와 BPS는 PER과 PBR 계산의 핵심 기초입니다. 이 둘을 정확히 이해하면 재무제표를 읽는 눈이 생기고, 더 나은 투자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ROE와 ROA에 대해 알아봅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주 vs 성장주 투자 전략 비교 (2025년 주식 유형별 전략) (0) | 2025.05.02 |
---|---|
ROE, ROA 지표 완전 이해하기 (2025년 기업 수익성 분석 핵심) (0) | 2025.05.02 |
증권사 계좌 개설과 주식 거래 방법 (주식 투자 입문 완성) (0) | 2025.04.30 |
차트란 무엇인가? 기본적인 보는 법 (주식 초보자용) (0) | 2025.04.30 |
종목이란? 주식 종목 선택의 기본 (2025년 초보자 가이드) (0) | 2025.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