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상장하는 방식은 IPO만 있는 게 아닙니다. 최근 주목받는 상장 방식 중 하나가 **스팩(SPAC)**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팩의 구조와 투자 시 주의사항을 알아봅니다.
1. 스팩(SPAC)이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기업인수목적회사’로, **비상장 기업과 합병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2. 스팩 구조
- 스팩 설립 → 상장 후 투자금 유치
- 합병 대상 기업 선정
- 주주 동의 후 합병 → 대상 기업 우회상장
- 합병 실패 시 투자금 반환
3. 스팩 투자 장점
- 우회상장을 통한 **빠른 상장**
- 합병 실패 시 **원금 보호** 구조 (설립 시 예치금 보관)
- 공모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 (보통 2,000원/주)
4. 스팩 투자 리스크
- 합병 대상기업 실적 부진 → 주가 하락
- 합병 전 비정상적 급등락 (테마화)
- 합병 지연/실패 가능성
5. 투자 체크리스트
- 합병 예정 기업의 사업성 분석
- 스팩 설립 주체(증권사, 운용사) 신뢰도 확인
- 합병 실패 시 환급 조건 확인
마무리
스팩 투자에는 ‘원금 보호’라는 장점이 있지만, **합병 전후 변동성**이 크므로 신중한 기업 분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무조건적인 테마 추종은 경계하세요.
다음 편에서는 **글로벌 ETF**를 활용한 분산 투자 전략을 알아봅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지 전략: 롱숏 투자란 무엇인가? (시장 방향성에 상관없는 전략) (0) | 2025.05.06 |
---|---|
글로벌 ETF로 분산 투자하는 방법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 (0) | 2025.05.06 |
ESG 투자란? 지속가능성 분석 방법 (2025년 책임투자의 중요성) (0) | 2025.05.06 |
고배당주 전략과 리스크 관리 (2025년 인컴 투자전략) (0) | 2025.05.05 |
매크로 데이터 분석: 금리, 환율, 인플레이션 (거시경제와 주식시장) (0) | 2025.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