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이야기

실물 금과 금통장·ETF의 세금 구조 비교

by 요셉님 2025. 5. 18.

금 투자를 고민할 때 많은 투자자들이 간과하는 것이 바로 ‘세금 구조’입니다. 같은 금 투자라도 실물 금, 금통장, 금 ETF, KRX 금시장 등 투자 방식에 따라 세금 부담과 수익률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급 투자자 관점에서

금 투자 수단별 과세 체계

를 분석하고,

세후 수익률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략

을 제안합니다.

1. 실물 금 투자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부가가치세 10% – 구매 시점에 부과
  • 기타 세금 없음 – 양도세, 소득세 부과 없음 (개인 한정)

예시

  • 1g 금 시세: 100,000원
  • 부가세 포함 가격: 110,000원
  • 매도 시 시세: 120,000원 → 차익: 10,000원 → 세금 없음

※ 단, 사업자 등록된 경우에는 부가세 신고 의무 존재

장점

  • 익명성 보장 (현금 구매 가능)
  • 과세 회피 가능성 존재 (합법 범위 내)

단점

  • 매수 시 부가세 10% → 단기 수익률 하락
  • 보관, 도난 리스크 존재

2. 금통장 투자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매매차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5.4% (지방세 포함)

예시

  • 100g 매입 후 1년 뒤 30만원 수익 실현
  • 기타소득세: 300,000 × 15.4% = 46,200원 납부

장점

  • 소액 거래 가능
  • 보관 부담 없음
  • 실시간 시세 반영

단점

  • 양도차익 과세 → 세후 수익률 낮아짐
  • 금 실물 인출 불가 (현금 정산만 가능)

3. 금 ETF 투자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국내 ETF: 매매차익 비과세, 배당소득세 15.4%
  • 해외 ETF: 매매차익 양도소득세 22% (기본 공제 250만원)

예시 – 해외 ETF (GLD) 투자 시

  • 수익: 400만원 – 기본 공제 250만원 = 과세표준 150만원
  • 양도소득세: 150만원 × 22% = 33만원 납부

장점

  • 실시간 거래 가능
  • 레버리지, 인버스 전략 가능

단점

  • 해외 ETF는 양도세 존재 + 세금 신고 필요
  • 실물 금과 괴리율 발생 가능

4. KRX 금시장 거래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매매차익 비과세
  • 부가가치세 면제

예시

  • 금 1g을 100,000원에 매수 → 120,000원에 매도
  • 세금: 0원 → 세후 수익률 100% 반영

장점

  • 세금 없음 (금통장·ETF 대비 유리)
  • 정부 보증·투명한 거래 구조

단점

  •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발생
  • 1g 단위 거래 → 수수료 발생 가능

5. 투자 목적별 추천 방식 요약

투자 유형 추천 수단 이유
단기 차익 추구 국내 금 ETF 매매차익 비과세, 유동성 우수
장기 실물 보유 KRX 금시장 세금 없음, 안전한 관리
소액 적립식 투자 금통장 자동이체 가능, 수수료 낮음
익명 자산·비상시 대비 실물 금 세금 없음, 통제 불가 자산

6. 마무리

금은 투자 수단 자체보다도 ‘어떤 방식으로 투자하느냐’에 따라

세금 구조와 실질 수익률이 큰 차이

를 보입니다.

고급 투자자는 단순히 수익률만이 아닌,

세후 기준 수익과 보유 목적

까지 고려한 구조적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금 투자와 환율의 고급 상관관계 분석’을 이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