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 투자를 고민할 때 많은 투자자들이 간과하는 것이 바로 ‘세금 구조’입니다. 같은 금 투자라도 실물 금, 금통장, 금 ETF, KRX 금시장 등 투자 방식에 따라 세금 부담과 수익률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급 투자자 관점에서
금 투자 수단별 과세 체계
를 분석하고,
세후 수익률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전략
을 제안합니다.
1. 실물 금 투자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부가가치세 10% – 구매 시점에 부과
- 기타 세금 없음 – 양도세, 소득세 부과 없음 (개인 한정)
예시
- 1g 금 시세: 100,000원
- 부가세 포함 가격: 110,000원
- 매도 시 시세: 120,000원 → 차익: 10,000원 → 세금 없음
※ 단, 사업자 등록된 경우에는 부가세 신고 의무 존재
장점
- 익명성 보장 (현금 구매 가능)
- 과세 회피 가능성 존재 (합법 범위 내)
단점
- 매수 시 부가세 10% → 단기 수익률 하락
- 보관, 도난 리스크 존재
2. 금통장 투자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매매차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5.4% (지방세 포함)
예시
- 100g 매입 후 1년 뒤 30만원 수익 실현
- 기타소득세: 300,000 × 15.4% = 46,200원 납부
장점
- 소액 거래 가능
- 보관 부담 없음
- 실시간 시세 반영
단점
- 양도차익 과세 → 세후 수익률 낮아짐
- 금 실물 인출 불가 (현금 정산만 가능)
3. 금 ETF 투자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국내 ETF: 매매차익 비과세, 배당소득세 15.4%
- 해외 ETF: 매매차익 양도소득세 22% (기본 공제 250만원)
예시 – 해외 ETF (GLD) 투자 시
- 수익: 400만원 – 기본 공제 250만원 = 과세표준 150만원
- 양도소득세: 150만원 × 22% = 33만원 납부
장점
- 실시간 거래 가능
- 레버리지, 인버스 전략 가능
단점
- 해외 ETF는 양도세 존재 + 세금 신고 필요
- 실물 금과 괴리율 발생 가능
4. KRX 금시장 거래 시 세금 구조
과세 항목
- 매매차익 비과세
- 부가가치세 면제
예시
- 금 1g을 100,000원에 매수 → 120,000원에 매도
- 세금: 0원 → 세후 수익률 100% 반영
장점
- 세금 없음 (금통장·ETF 대비 유리)
- 정부 보증·투명한 거래 구조
단점
- 실물 인출 시 부가세 10% 발생
- 1g 단위 거래 → 수수료 발생 가능
5. 투자 목적별 추천 방식 요약
투자 유형 | 추천 수단 | 이유 |
---|---|---|
단기 차익 추구 | 국내 금 ETF | 매매차익 비과세, 유동성 우수 |
장기 실물 보유 | KRX 금시장 | 세금 없음, 안전한 관리 |
소액 적립식 투자 | 금통장 | 자동이체 가능, 수수료 낮음 |
익명 자산·비상시 대비 | 실물 금 | 세금 없음, 통제 불가 자산 |
6. 마무리
금은 투자 수단 자체보다도 ‘어떤 방식으로 투자하느냐’에 따라
세금 구조와 실질 수익률이 큰 차이
를 보입니다.
고급 투자자는 단순히 수익률만이 아닌,
세후 기준 수익과 보유 목적
까지 고려한 구조적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금 투자와 환율의 고급 상관관계 분석’을 이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자돈이란? 왜 중요한가? (0) | 2025.05.18 |
---|---|
금 투자와 환율의 고급 상관관계 분석 (0) | 2025.05.18 |
금의 계절성 – 시기별 매수·매도 전략 분석 (0) | 2025.05.17 |
금 가격에 영향을 주는 지정학 리스크 5가지 (0) | 2025.05.16 |
금과 암호화폐 – 새로운 가치 저장 수단의 경쟁과 공존 (0) | 2025.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