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이야기

가계부 작성과 자동화 시스템 만들기

by 요셉님 2025. 5. 19.

종자돈을 제대로 모으기 위해서는 돈의 흐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첫 번째 도구가 바로

가계부

이고, 지속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핵심이

자동화

입니다.

1. 가계부의 목적은 ‘기록’이 아니라 ‘의사결정’

많은 사람들이 가계부를 시작했다가 며칠 만에 포기합니다. 그 이유는 기록만 하고 분석은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가계부는 “돈을 썼는지”가 아니라, ‘왜 쓰고, 얼마를 쓰고,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를 보기 위한 도구입니다.

2. 가계부 쓰는 3가지 방법

① 수기 가계부

  • 노트에 직접 작성 (심리적 집중도 높음)
  • 불편하지만 기억에 오래 남음

② 엑셀 가계부

  • 직장인/프리랜서에게 추천
  • 카테고리별 분석이 쉬움

③ 앱 가계부 (추천 앱)

  • 브로콜리: 자동 연동 + 소비 통계
  • 편한가계부: 캘린더 보기 기능 우수
  • 뱅크샐러드: 통합 계좌 자산관리

3. 자동화 시스템의 핵심: 통장 분리

추천 분리 구조 (4통장)

  • 1. 수입 통장: 급여, 수입 전용
  • 2. 생활비 통장: 월 예산 이체
  • 3. 저축 통장: 목표금 전용 (자동이체)
  • 4. 비상금 통장: 갑작스러운 지출 대응

통장을 분리하면,

사용 가능한 돈만 보여지기 때문에

충동지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4. 자동 저축 시스템 만들기

  • 월급일 다음 날 자동이체 → ‘남는 돈 저축’이 아닌 ‘먼저 저축’
  • 적금보다는 자유적금 + CMA 조합 추천
  • 금액은 10%부터 시작, 점진적 확대

5. 가계부 분석 포인트

  • 지출 상위 항목 확인 → 매월 상위 3개 줄이기
  • 고정비/변동비 비율 점검 (고정비 50% 이하 추천)
  • 비상지출 발생 패턴 체크 → 대비 전략 마련

6. 마무리

가계부는 단순한 기록장이 아니라, 종자돈을 만들어주는 핵심 전략 도구입니다.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면, 매달 저축이 습관처럼 쌓이는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목표 기반 저축 전략 – 100만부터 1,000만 원까지를 소개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