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이야기

예금과 적금의 차이부터 이해하자 – 원금보장 상품의 모든 것

by 요셉님 2025. 5. 30.

투자를 시작하기 전,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금융상품은 바로 ‘원금보장형 상품’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예금과 적금이 있으며,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이 둘을 혼동하거나 ‘그게 그거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예금과 적금은

자금 운용 방식, 수익률 구조, 해지 리스크

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1. 예금과 적금의 핵심 차이점

구분 예금 적금
납입 방식 일시납 (한 번에 예치) 정기적 분할납입 (매달 납입)
이자 계산 전액 이자 계산 적용 납입 시점마다 이자 다름
목적 단기 자금 보관 + 안정 수익 목표 기반 저축 (목돈 마련)
해지 시 손해 중도해지 시 이자 일부만 지급 해지 시 정기적금 이자 소멸

2. 예금 – 한 번에 예치하고 안정적으로 불리는 구조

  • 목돈이 있는 경우 사용
  • 이자율은 2% 내외 (2025년 기준, 변동 가능)
  • 복리보다는 단리 방식이 많음

추천 활용 예시:

  • 퇴직금 예치
  • 3~6개월 자금 유보
  • 단기 여행자금 확보

3. 적금 – 매달 모아 목돈 만드는 습관형 상품

  • 소액 저축 시작에 적합
  • 정해진 날짜에 자동이체 설정
  • 이자율은 예금보다 소폭 높은 경우도 있음

추천 활용 예시:

  • 종자돈 만들기 (12개월 30만 원 목표)
  • 비상금·여행 자금 계획형 저축

4. 금리 비교 방법

  • 단리 vs 복리: 대부분 예금·적금은 단리
  • 세전 vs 세후이율 체크
  • 금리 우대 조건(급여이체, 체크카드 사용 등) 유무 확인

5. 예적금은 투자인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투자’라기보다는 ‘자산 보호’에 가까운 상품**입니다. 원금 손실 없이 안정적으로 이자를 얻을 수 있지만,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 수익률은 낮습니다.

6. 마무리

예금과 적금은 투자 준비 단계에서 꼭 필요한 **‘기초 자산 안정기’ 역할**을 합니다. 긴급자금, 비상금, 단기 목적성 자금은

예적금으로 지키고, 나머지 자산은 투자로 굴리는 구조

가 이상적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펀드’라는 개념과 실제 상품 구분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