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 '이자 받는 투자'라고만 알고 계셨다면 절반만 아신 겁니다. 채권의 수익은 이자(정기 수익) + 시세차익(매매 수익)으로 구성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채권 수익률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채권 수익의 구성
- 이자 수익 (정기적 수익): 정해진 쿠폰금리에 따라 지급
- 시세차익 (시장 수익): 매수 후 가격 상승 시 차익 실현
2. 채권의 표면이자율 vs 시장이자율
- 표면이자율: 채권 발행 시 정해지는 고정 이자율
- 시장금리: 시장에서 유통 중인 채권 수익률
예시:
- 액면가 1,000만 원, 표면금리 3%, 만기 3년
- → 매년 30만 원 이자 지급 + 만기 시 원금 반환
3. 채권 가격과 수익률 관계
- 금리 상승 시: 기존 채권 수익률이 낮아져 가격 하락
- 금리 하락 시: 기존 채권 수익률이 유리해져 가격 상승
4. YTM (만기보유수익률)이란?
현재 채권 가격 기준으로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의 실질 수익률입니다.
예시 계산:
- 채권가격: 980,000원
- 쿠폰금리: 연 3%
- YTM: 약 3.5% (할인분 포함한 수익률)
5. 시세차익 실현 예시
- 2024년 금리 4% → 채권가격 970,000원
- 2025년 금리 3% → 동일 채권가격 1,020,000원
- → 중간 매도 시 50,000원 차익 + 이자 수익 확보
마무리
채권은 단순히 ‘이자 받는 금융상품’이 아니라, **가격 변동을 활용한 수익 기회도 존재**합니다. 특히 금리 변동기에 채권 수익률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투자자의 필수 역량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국채, 회사채, 특수채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 금리 상승기에 주의할 점 (2025년 기준) (0) | 2025.04.26 |
---|---|
국채 vs 회사채 vs 특수채: 차이점과 선택법 (2025년 기준 채권 투자자용) (0) | 2025.04.26 |
채권 투자의 기초 개념과 종류 완벽 정리 (2025년 기준) (0) | 2025.04.26 |
2025년 주목할 글로벌 투자 트렌드와 추천 종목 정리 (0) | 2025.04.26 |
시차, 배당, 주문 방식까지 해외 주식 실전 팁 모음 (초보자 필독 실전 편) (0) | 2025.04.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