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이야기

채권 수익률의 원리: 이자와 시세차익 이해하기 (2025년 투자자용 가이드)

by 요셉님 2025. 4. 26.

채권은 '이자 받는 투자'라고만 알고 계셨다면 절반만 아신 겁니다. 채권의 수익은 이자(정기 수익) + 시세차익(매매 수익)으로 구성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채권 수익률의 원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채권 수익의 구성

  • 이자 수익 (정기적 수익): 정해진 쿠폰금리에 따라 지급
  • 시세차익 (시장 수익): 매수 후 가격 상승 시 차익 실현

2. 채권의 표면이자율 vs 시장이자율

  • 표면이자율: 채권 발행 시 정해지는 고정 이자율
  • 시장금리: 시장에서 유통 중인 채권 수익률

예시:

  • 액면가 1,000만 원, 표면금리 3%, 만기 3년
  • → 매년 30만 원 이자 지급 + 만기 시 원금 반환

3. 채권 가격과 수익률 관계

  • 금리 상승 시: 기존 채권 수익률이 낮아져 가격 하락
  • 금리 하락 시: 기존 채권 수익률이 유리해져 가격 상승

4. YTM (만기보유수익률)이란?

현재 채권 가격 기준으로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의 실질 수익률입니다.

예시 계산:

  • 채권가격: 980,000원
  • 쿠폰금리: 연 3%
  • YTM: 약 3.5% (할인분 포함한 수익률)

5. 시세차익 실현 예시

  • 2024년 금리 4% → 채권가격 970,000원
  • 2025년 금리 3% → 동일 채권가격 1,020,000원
  • → 중간 매도 시 50,000원 차익 + 이자 수익 확보

마무리

채권은 단순히 ‘이자 받는 금융상품’이 아니라, **가격 변동을 활용한 수익 기회도 존재**합니다. 특히 금리 변동기에 채권 수익률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투자자의 필수 역량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국채, 회사채, 특수채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