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관련 이야기

금융상품별 과세 구조 완벽 이해 – 예금, 펀드, 주식, ETF

by 요셉님 2025. 6. 8.

세테크의 출발점은 바로 ‘세금 구조 이해’입니다. 상품마다 과세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수익률이라도 세후 수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요 금융상품들의 과세 구조를 비교 정리하고,

절세에 유리한 상품을 선별하는 기준

을 안내합니다.

1. 예금·적금 – 이자소득세 부과

  • ✅ 세율: 15.4% (소득세 14% + 지방세 1.4%)
  • 이자 발생 시 자동 원천징수 → 별도 신고 불필요
  • ✔ 예: 1,000만 원 예금 → 이자 5만 원 → 세금 약 7,700원

2. 펀드 – 국내 vs 해외 펀드 과세 차이

① 국내 주식형 펀드

  • 매매차익 비과세, 배당·이자 수익만 과세
  • 보유 중 배당수익 → 15.4% 과세

② 해외 주식형 펀드

  • 매매차익에도 15.4% 과세
  • 연 250만 원 공제 이후 분리과세

3. 국내 주식 – 기본적으로 매매차익은 비과세

  • ✅ 현행: 일반 투자자는 매매차익 비과세
  • 배당수익은 15.4% 과세 (원천징수)
  • ※ 대주주(10억 이상 보유)는 양도세 부과

4. ETF 과세 구조

① 국내 ETF (주식형)

  • 매매차익: 비과세
  • 분배금(배당) 수익: 15.4% 과세

② 해외 ETF (예: 미국 상장 ETF)

  • 매매차익: 연간 250만 원 공제 후 22% 분리과세
  • 배당금: 미국 원천징수 15% 자동 공제

5. 금융소득종합과세란?

  • 금융소득(이자 + 배당) 합산 2,000만 원 초과 시 대상
  • 종합소득에 따라 세율 최대 49.5%
  • 고액 자산가일수록 절세 구조 필요

6. 마무리

세금을 모르고 투자하면, 수익의 절반을 놓치는 셈입니다.

상품별 과세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세후 수익률 기준으로 판단

해야 진정한 ‘절세 투자’가 완성됩니다.

다음 편에서는 절세형 금융상품의 종류와 활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