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테크 전략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절세형 상품’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정부가 인정한 절세 계좌와 그 활용법을 안내합니다.
1.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 이자·배당·매매차익 등 다양한 수익을 통합 관리
- ✅ 순이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 /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 납입한도: 연간 2,000만 원, 5년간 최대 1억 원
활용 팁:
- ① ETF, 예금, 펀드 혼합 가능
- ② 만기 후 계좌 전환 시 자동 절세 혜택 적용
2.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펀드/보험)
- ✅ 연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13.2~16.5%)
-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 3.3~5.5%만 부과
- 장기 투자 + 노후 대비 + 세테크 삼박자 계좌
3. IRP (개인형 퇴직연금)
- ✅ 연금저축과 함께 추가로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 최대 700만 원 납입 → 최대 115.5만 원 세금 환급 가능
- 주의: 55세 이전 중도 인출 시 기타소득세 부과
4. 비과세 해외주식형 펀드 (2025년 신설 예정 제도 참고)
- 정부는 해외주식형 장기 투자 시 비과세 한도 확대 예정
- ISA를 통한 해외ETF 투자 시 세율 9.9%로 낮출 수 있음
5. 세테크 통합 전략 예시
- ISA: 월 50만 원 → ETF + 예금 혼합 투자
- 연금저축펀드: 월 33만 원 → 미국 S&P500 ETF 중심
- IRP: 월 25만 원 → 채권형 중심으로 안정 투자
6. 마무리
정부가 허용한 세테크는 ‘합법적인 절세 무기’입니다.
계좌별 용도와 한도를 정확히 이해하고 최대한 활용
하면 수익은 물론 노후까지 대비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세금을 줄이는 실전 전략을 알아봅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기준 실전 세테크 포트폴리오 구성법 (0) | 2025.06.09 |
---|---|
세금 줄이는 실전 전략 – 투자금 분산과 활용 팁 (0) | 2025.06.09 |
금융상품별 과세 구조 완벽 이해 – 예금, 펀드, 주식, ETF (0) | 2025.06.08 |
세테크란 무엇인가? 개인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절세의 시작 (0) | 2025.06.08 |
실전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 고배당주로 현금 흐름 만들기 (0) | 2025.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