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투자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도대체 금은 어디서 사고파는 걸까?”입니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금거래소’입니다.
금거래소는 실물 금을 사고팔 수 있는 대표적인 유통 채널로, 투자용 골드바, 은괴, 금화 등을 직접 구매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곳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거래소의 개념부터, 이용 방법, 시세 확인법, 유의사항까지 초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금거래소란 무엇인가?
금거래소(Gold Exchange)는 실물 금을 매입(구매) 또는 매도(판매)할 수 있는 민간 유통 플랫폼입니다. 온라인 거래소와 오프라인 직영점이 있으며,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거래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금거래소
- 골드앤실버
- 한국금시장
- 서울 종로 금은방 밀집 지역
이러한 금거래소에서는 24K 순도 99.99% 금을 다양한 중량(1g, 3.75g, 10g, 100g 등)으로 판매하며, 매도 시에도 실물을 가져가면 감정 후 매입해 줍니다.
2. 금거래소의 주요 서비스
- 실물 금 판매 (골드바, 은괴, 기념금화 등)
- 금 매입 서비스 (개인 보유 금 매도 가능)
- 실시간 금 시세 제공
- 보증서 발행 및 정품 인증
- 택배 배송 및 보험포장 서비스
3. 금거래소에서 금을 사는 방법
① 시세 확인
홈페이지나 앱에서 실시간 금 시세 확인 (g당 원화 기준)
② 제품 선택
- 1g ~ 1kg 골드바, 디자인 골드바, 투자용 금화 등
- 보통 3.75g(1돈), 10g, 37.5g 단위가 인기
③ 주문 및 결제
온라인 주문 후 무통장 입금, 카드 결제, 가상계좌 등을 통해 결제 가능
④ 수령 방법
- 직영점 방문 수령
- 택배 배송 (보험포장 포함 여부 확인 필수)
⑤ 부가세 포함 여부
거래소 시세는 보통 부가세 별도 기준입니다. 구매 시 10% 부가세가 별도로 부과되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4. 금거래소에서 금을 파는 방법 (매도)
① 실물 금 준비
- 골드바, 금화, 주얼리 등
- 보증서, 케이스 등 원형 보존 중요
② 신분증 지참 후 방문
실물 금과 함께 주민등록증 등 본인 확인 서류 지참
③ 감정 및 중량 측정
- 순도 확인 (감정비 별도 발생 가능)
- 중량(g) 기준 단가 적용
④ 매입가 확인 후 매도
거래소는 실시간 금 매입가를 공개하므로, 비교 후 결정
⑤ 대금 수령
현금 또는 계좌이체로 즉시 지급
5. 금거래소 이용 시 유의사항
- 정품 보증서 확인: 정식 유통 제품인지 확인
- 시세 비교 필수: 거래소별 매입가·판매가 다름
- 포장 훼손 주의: 개봉 시 감정가 하락 가능
- 사업자 등록 확인: 정식 등록 업체 이용 권장
6. 금거래소 vs KRX 금시장
항목 | 금거래소 | KRX 금시장 |
---|---|---|
거래 대상 | 실물 금 (골드바 등) | 전자 등록된 1g 단위 금 |
세금 | 부가세 10% 부과 | 부가세 면제 |
수수료 | 프리미엄 포함 | 증권사 수수료 (약 0.3%) |
보유 형태 | 물리적 실물 | 계좌 내 전자적 보유 |
7. 마무리
금거래소는 실물 금을 직접 보고 구매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유통 채널입니다. 금 투자를 실물 보유 목적으로 접근하는 투자자라면
정품 인증, 시세 비교, 세금 구조
등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금 투자 시 많이 비교되는 항목인 ‘골드바 vs 금화 – 투자 목적에 따라 고르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MSCO란? 조폐공사의 금·은지란 무엇인가 (0) | 2025.05.12 |
---|---|
골드바 vs 금화 – 투자 목적에 따라 고르기 (0) | 2025.05.12 |
부가세는 왜 붙는가? 금 거래의 세금 구조 완전 정리 (0) | 2025.05.12 |
금시세란? 국내외 금 시세 차이 이해하기 (0) | 2025.05.12 |
순도란 무엇인가? 24K, 999.9 의미 이해하기 (0) | 2025.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