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투자를 준비하는 초보자라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단어가 바로 ‘금시세’입니다. 뉴스에서 “금값 상승”, “국제 금 시세 하락” 등의 표현을 자주 보게 되지만, 실제로 이 ‘금시세’가 어떻게 정해지고 왜 국내 금 가격과 차이가 나는지를 이해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제 금 시세와 국내 금 시세의 구조를 비교하고, 환율, 세금, 프리미엄 등의 요소가 금값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상세히 설명해드립니다.
1. 금시세란 무엇인가?
금시세는 금 1트로이온스(31.1035g)당 가격을 의미합니다. 국제 금 시세는 미국 달러(USD)로 표기되며, 보통 $/oz 또는 $/ozt 단위로 나타납니다.
- 국제 금 시세 기준 시장: 뉴욕상품거래소(COMEX), 런던금시장(LBMA)
- 표준 단위: 1트로이온스(31.1035g)
- 실시간으로 글로벌 경제, 금리, 달러가치에 따라 등락
예시
2025년 1월 기준 국제 금 시세가 $2,000/ozt일 경우, 이를 원화로 환산하면 환율이 1,350원/$일 때 약 2,700,000원/ozt입니다.
2. 국내 금 시세는 어떻게 정해질까?
국내 금 시세는 다음 요소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 국제 금 시세
- 원-달러 환율
- 부가세(10%)
- 제조·유통 프리미엄
- 수요와 공급의 심리적 요인
따라서 국내 금값은 국제 시세에 단순히 환율만 곱한 값보다 더 높게 형성됩니다.
3. 국제 금 시세와 국내 금값 비교
구분 | 국제 금 시세 | 국내 금 시세 |
---|---|---|
표기 단위 | $/ozt | 원/g 또는 원/돈 |
기준 가격 | 런던, 뉴욕 금 거래소 | 국제 시세 + 환율 + 부가세 + 프리미엄 |
시세 반영 시간 | 실시간 24시간 | 국내 영업일 기준 오전 10시~오후 4시 반영 |
세금 포함 여부 | 세금 없음 | 10% 부가세 포함 |
4. 실전 예시로 보는 시세 계산
국제 금 시세: $2,000/ozt → 원화 환산: $2,000 × 1,350원 = 2,700,000원 → 1g당 원화 시세: 2,700,000 ÷ 31.1035 = 약 86,800원/g → 1돈(3.75g): 약 325,500원 → 부가세 포함 시: 약 358,000원
여기에 유통 프리미엄, 포장비, 디자인비 등이 추가되면
소비자 구매 가격은 370,000원 이상
이 될 수 있습니다.
5. 어디서 시세를 확인할 수 있을까?
- 한국금거래소: 국내 실시간 시세 제공
- 하나은행 금 시세: 은행 기준 매입/매도 시세
- BullionVault: 글로벌 실시간 금/은 시세
- KRX 금시장: 거래소 금 현물 가격 (투자자용)
6. 금값이 오르는 요인 vs 떨어지는 요인
금값 상승 요인
- 달러 약세
- 글로벌 경제 위기, 전쟁
- 금리 인하, 유동성 확대
- 인플레이션 기대감
금값 하락 요인
- 달러 강세
- 금리 인상
- 주식시장 강세, 위험자산 선호
7. 마무리
금시세는 단순히 숫자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국제 시세 + 환율 + 부가세 + 프리미엄
의 복합 구조로 형성됩니다. 국내 금값이 뉴스에 나오는 국제 시세보다 항상 비싼 이유는 여기에 있으며, 이를 이해하면 금 매입 시점, 단위별 가격 비교, 보관 전략에 있어 훨씬 유리한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금 거래 시 발생하는 비용 중 하나인 ‘부가세 10%’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거래소란? 실물 금 거래소 이용법 완전 정리 (0) | 2025.05.12 |
---|---|
부가세는 왜 붙는가? 금 거래의 세금 구조 완전 정리 (0) | 2025.05.12 |
순도란 무엇인가? 24K, 999.9 의미 이해하기 (0) | 2025.05.12 |
트로이온스(ozt)란? 금 단위 완벽 정리 (0) | 2025.05.12 |
금 현물 vs 금 ETF – 초보 투자자를 위한 차이 완벽 정리 (0) | 2025.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