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는 바로 계약서 작성입니다. 아무리 믿을 수 있는 상대방과 거래를 하더라도, 서면으로 명확하게 약속되지 않으면 법적 보호를 받기 어렵고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계약서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부동산 계약서는 보통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거래 당사자 정보: 매도인과 매수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 부동산 정보: 정확한 주소, 지번, 등기부상 표기
- 거래금액 및 지급 방식: 계약금, 중도금, 잔금의 금액과 지급일
- 계약일 및 잔금일: 실제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날짜
- 특약사항: 추가적인 약속사항 (예: 가전제품 포함 여부, 세입자 처리)
2. 계약 전 반드시 확인할 항목
등기부등본 확인: 계약 전 반드시 최신 등기부등본을 열람하여 소유권자 일치 여부, 근저당 설정, 가압류 여부 등을 체크해야 합니다.
실제 권리관계 확인: 매도인이 단독 소유자가 아닐 경우, 공동명의 여부나 가족 간 위임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이 경우에는 인감증명서 + 위임장이 필요합니다.
3. 특약사항은 계약서의 핵심
부동산 계약서에서 특약사항은 거래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분쟁의 소지를 줄이기 위한 수단입니다. 예를 들어, 입주 시점 이전 퇴거, 누수 발생 시 수리 의무, 옵션 포함 여부 등을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4. 계약금의 법적 의미
계약금은 전체 매매대금의 10% 내외로 설정되며, 계약 이행 의무의 증표입니다. 매수인이 계약을 파기하면 계약금은 몰수되고, 매도인이 파기하면 두 배를 반환해야 하는 법적 책임이 따릅니다.
5. 주의할 점
-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할 경우, 중개사 등록 여부와 손해배상책임보험 가입 여부 확인
- 직거래 시 특히 조심! 계약서 내용 검토는 전문가 도움 받기
- 계약서 작성 후 도장 또는 서명은 필수
6. 마무리
계약서는 말보다 강합니다. 부동산 계약 시 무조건 서류로 남기고, 작은 특약이라도 꼭 명시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확실한 계약서 = 내 재산 보호의 시작입니다.
'투자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거래 시 알아야 할 기본 세금 2가지 (0) | 2025.05.07 |
---|---|
부동산 중개수수료, 얼마가 적정한가요? (0) | 2025.05.07 |
분양가상한제란 무엇인가? 무주택자를 위한 정책 이해 (0) | 2025.05.07 |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차이, 아파트 선택의 핵심 (0) | 2025.05.07 |
공시지가와 실거래가의 차이, 확실하게 구분하자 (0) | 2025.05.07 |
댓글